728x90
학습 내용
- 선형회귀와 경사 하강법을 직접 손으로 구현해보며 과정을 이해한다
- 데이터 분석 및 모델링의 전체 과정을 이해한다
추가적으로 피처 엔지니어링도 진행하여 모델을 개선해보자
자세한 코드 보기 : https://github.com/seongyeon1/aiffel/blob/main/Exploration/Quest2/project1_sykim.ipynb
1. 데이터 가져오기
from sklearn.datasets import load_diabetes
diabetes = load_diabetes()
df_X = diabetes.data
df_y = diabetes.target
2. 모델에 입력할 데이터 X 준비하기
import numpy as np
X = np.array(df_X)
X.shape
3. 모델에 입력할 데이터 X 준비하기
y = np.array(df_y)
4. train 데이터와 test 데이터로 분리하기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X_train, X_test, y_train, y_test = train_test_split(X, y, test_size=0.2, random_state=123)
print(f"전체 학습 데이터: {X.shape} 레이블: {y.shape}")
print(f"학습 데이터: {X_train.shape} 레이블: {y_train.shape}")
print(f"테스트 데이터: {X_test.shape} 레이블: {y_test.shape}")
전체 학습 데이터: (442, 10) 레이블: (442,)
학습 데이터: (353, 10) 레이블: (353,)
테스트 데이터: (89, 10) 레이블: (89,)
5. 모델 준비하기
입력 데이터 개수는 column의 개수이므로 X.shape[1]이다.
따라서 가중치 W는 10개이고, b는 1개인데 b는 0으로, W는 모두 1의 벡터로 초기화해주었다.
W = np.ones(shape=(X.shape[1],))
b = 0
모델 함수 구현하기
def model(X, y, epochs, learning_rate):
losses = []
weight_history = []
bias_history = []
W = np.ones(shape=(X.shape[1],))
b = 0
for epoch in range(epochs):
y_pred = X.dot(W) + b
l = loss(y, y_pred)
w_grad, b_grad = gradient(X, y, y_pred)
W -= learning_rate * w_grad
b -= learning_rate * b_grad
print(f'epoch {epoch + 1}, loss: {l}')
losses.append(l)
weight_history.append(W.copy())
bias_history.append(b)
return W, b, losses, weight_history, bias_history
6. 손실함수 정의하기
mse를 사용하고자 한다
def loss(y, y_pred):
return ((y_pred - y) ** 2).mean()
7. 기울기를 구하는 gradient 함수 구현하기
def gradient(x, y, y_pred):
error = y_pred - y
w_grad = 2 * np.dot(x.T, error) / len(y)
b_grad = 2 * error.mean()
return w_grad, b_grad
8. 하이퍼 파라미터인 학습률 설정하기
learning_rate = 0.8
9. 모델 학습하기
- 정의된 손실함수와 기울기 함수로 모델을 학습해주었다.
epochs = 10000
W, b, losses, weight_history, bias_history = model(X_train, y_train, epochs, learning_rate)
10. 시각화 및 모델 개선
10-1. loss의 변화
plt.figure(figsize=(10, 3))
plt.subplot(1, 2, 1)
plt.plot(losses[:200])
plt.subplot(1, 2, 2)
plt.plot(losses[200:])
- 200 epoch 동안 30000에서 5000까지 떨어지고 200 epoch 이후에는 3150에서 2900대로 떨어진 것을 볼 수 있다
- epoch을 아무리 늘려도 2000정도 이후부터는 크게 줄어들지 않았다
10-2. 가중치(weight)의 변화
plt.figure(figsize=(10, 3))
plt.subplot(1, 2, 1)
plt.plot(weight_history)
plt.subplot(1, 2, 2)
plt.plot(weight_history[:200])
plt.plot(bias_history[:20])
loss, weight, bias 값들의 변화를 확인해본 결과
- 선형회귀 모델이 정보를 담아내는데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판단이 되었다.
- 하지만 모델은 바꾸지 않는 하에서 최대치의 성능을 내는 것이 이번 프로젝트의 목적이였기에 데이터를 변형하고 feature engineering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모델 개선을 위한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 원래는 EDA를 더 앞에서 했어야 했지만 이번 프로젝트에 의해 어쩔 수 없이 baseline 수행 후에 진행하게 되었다.
피처 확인
train = pd.DataFrame(X_train)
train['label'] = y_train
train.describe()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MinMaxScaler
scaler = MinMaxScaler()
scaler.fit(X_train)
X_train_minmax = scaler.transform(X_train)
# scaler.transform(X_test)
X_train_minmax = pd.DataFrame(X_train_minmax)
X_train_minmax.hist()
label 분포
plt.figure(figsize=(12, 4))
# 첫 번째 subplot
ax1 = plt.subplot(1, 2, 1)
sns.histplot(y_train, kde=True, ax=ax1)
ax1.set_title('Distribution of y_train')
# 두 번째 subplot
ax2 = plt.subplot(1, 2, 2)
sns.histplot(np.sqrt(y_train), kde=True, ax=ax2)
ax2.set_title('Distribution of sqrt(y_train)')
# 레이아웃 자동 조정
plt.tight_layout()
plt.show()
- 레이블의 경우는 살짝 왼쪽으로 치우쳐 보여서 root scaling을 진행해보았다.
- log scaling을 해보니 반대로 우로 치우치게 되어서 root scaling을 하였다.
상관관계 확인
상관관계를 활용한 피처 선택
- 상관관계가 높지 않은 피처(상관계수가 -0.1 < r < 0.1처럼 타깃과의 상관관계가 매우 낮은 피처)는 예측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 이를 제거하거나 다른 피처와 조합하는 피처 엔지니어링을 고려할 수 있다
상관관계를 활용한 피처 선택
- 상관관계가 높지 않은 피처(상관계수가 -0.1 < r < 0.1처럼 타깃과의 상관관계가 매우 낮은 피처)는 예측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 이를 제거하거나 다른 피처와 조합하는 피처 엔지니어링을 고려할 수 있다
- 높은 상관관계 : 타깃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 피처가 중요한 피처일 가능성이 높음.
- 낮은 상관관계 : 타깃과의 상관관계가 낮은 피처는 모델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수 있음.
- 피처 간 상관관계가 높은 경우 :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 다중공선성 문제가 있으면, 모델의 해석력이 떨어지고 예측 불안성이 커질 수 있음.
해결 방법
- 피처 제거 : 타깃과의 상관관계가 너무 낮거나 피처 간 상관관계가 너무 높은 피처들을 제거할 수 있다.
- 피처 결합 : 상관관계가 높은 피처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파생 피처를 만들 수 있다.
- 차원 축소 : PCA(주성분 분석)를 사용하여 차원을 축소. 상관관계가 높은 피처들을 하나의 주성분으로 모아 모델의 효율성을 높임.
threshold = 0.1
low_corr_features = corr_with_target[abs(corr_with_target) < threshold].index
data_reduced = train_minmax.drop(columns=low_corr_features)
# 높은 상관관계 피처 확인
high_corr_pairs = corr_matrix[abs(corr_matrix) > 0.7].stack().reset_index()
high_corr_pairs = high_corr_pairs[high_corr_pairs['level_0'] != high_corr_pairs['level_1']]
print('Highly correlated pairs:\n', high_corr_pairs)
threshold를 정해 제거한 결과 피처 1을 없애주었다.
4.5번 피처
4, 5번 피처는 PCA를 진행한다.
from sklearn.decomposition import PCA
# PCA 적용
pca = PCA(n_components=1)
X_pca_45 = pca.fit_transform(data_reduced[[4,5]])
data_reduced.drop([4,5], axis=1, inplace=True)
data_reduced['pca_45'] = X_pca_45
6, 7, 8번 피처
6번 피처와 7번 피처가 상관관계가 있고 7번 피처와 8번 피처가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7번 피처를 제거한다6번 피처와 7번 피처가 상관관계가 있고 7번 피처와 8번 피처가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7번 피처를 제거한다
data_reduced = data_reduced.drop(7, axis=1)
최종 모델 학습
최종 모델 학습을 위해 테스트 데이터에도 같은 전처리를 진행해준다.
X_test = scaler.transform(X_test)
X_test = pd.DataFrame(X_test)
X_test.drop([1, 7], axis=1, inplace=True)
X_pca_45 = pca.fit_transform(X_test[[4,5]])
X_test.drop([4,5], axis=1, inplace=True)
X_test['pca_45'] = X_pca_45
y_train = np.sqrt(y_train)
X_train_scaled = np.array(data_reduced.drop(['label'], axis=1))
y_train_scaled = np.array(y_train)
W, b, losses, weight_history, bias_history = model(X_train_scaled, y_train_scaled, epochs=10000, learning_rate=0.1)
12. test 데이터에 대한 성능 확인하기
y_pred = np.dot(X_test, W) + b
# y 값 원래대로 변환
y_pred = y_pred ** 2
loss(y_test, y_pred)
loss(y_test, y_pred)
2885.825909176297
13. 정답 데이터와 예측한 데이터 시각화하기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plt.figure(figsize=(10, 6))
plt.scatter(X_test[:, 0], y_test, color='blue', label='Actual')
plt.scatter(X_test[:, 0], y_pred, color='red', label='Predicted')
plt.xlabel('X_train\'s first column')
plt.ylabel('Target')
plt.title('Pred vs Truth')
plt.legend()
plt.show()
결론
- gradient descent 직접 구현하는 게 생각보다 함수를 나누는 것이 어려웠다. 클래스를 통해 구현해보고 싶다.
- 선형 회귀로는 한계가 있는 것 같다
- 생각보다 feature engineering을 열심히 한다고 성능이 많이 높아지지는 않는 것 같아서 아쉽다.
참고자료
손수 설계하는 선형회귀, 당뇨병 수치를 맞춰보자
728x90
'AIFFLE >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V] 인물사진 만들기 - 기본편 (OpenCV, semantic segmentation) (0) | 2024.06.08 |
---|---|
[CV] 고양이 수염 스티커 합성하기 (OpenCV 완전 정복기) (0) | 2024.06.08 |
[kaggle] Bike Sharing Demand (자전거 수요 예측) (0) | 2024.05.28 |
[kaggle] 포켓몬 분류하기 프로젝트 (Tree 모델들의 Feature importance를 확인해보자) (2) | 2024.05.28 |